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 편액
  • 공간별 보기

화수당(花樹堂)

풍산류씨 충효당(豐山柳氏 忠孝堂)

67.5x131.6x8 / 행서(行書)MORE

의견달기 URL
목록 이전 기사 다음 기사
  • 자료명 화수당(花樹堂)
  • 글자체 행서(行書)
  • 크기 67.5x131.6x8
  • 건물명 화수당(花樹堂)
  • 공간명 풍산류씨 충효당(豊山柳氏 忠孝堂)
  • 서예가
  • 위치정보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
  •  
r0135_1.jpg
화수당(花樹堂)

화수당(花樹堂)


화수당(花樹堂)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에 위치한 풍산류씨(豊山柳氏) 문중의 편액이다. 화수당은 예전 풍남초등학교의 전신인 동화학교 또는 그 이전 동화학당이 세워져 신학문을 받아들이는 바탕이 되었다. ‘화수’는 친족이 한자리에 모여 골육의 정을 즐기는 것을 뜻한다. 당나라 위장(韋莊)이 화수 아래에 친족을 모아 놓고 술을 마신 일이 있는데, 이에 대해 잠삼(岑參)의 「위원외가화수가韋員外家花樹歌」에 “그대의 집 형제를 당할 수 없나니, 열경과 어사 상서랑이 즐비하구나. 조회에 돌아와서는 늘 꽃나무 아래 모이나니, 꽃이 옥 항아리에 떨어져 봄술이 향기로워라.[君家兄弟不可當 列卿御史尙書郞 朝回花底恒會客 花撲玉缸春酒香]”라고 한데서 취하였다. 편액의 글씨는 송하(松下) 조윤형(曺允亨, 1725~1799)이 1787년(정조 11)에 쓴 행서체이다.

감성 충만한 필세, 시원하게 뻗은 종획이 돋보인다. 붓 허리의 유연한 작용으로 모든 필획이 힘차면서 리듬감 있고 유려하다. 그러나 글씨가 종으로 다소 편향된 듯한 형태가 있고 특히 종으로 긴 필세가 강조되어 전체적으로 시원하지만 길쭉한 형태를 보인다. 아마도 준비된 편액의 크기가 종으로 긴 탓으로 보인다. 

(서예가 恒白 박덕준)

풍산류씨 충효당(豊山柳氏 忠孝堂) 소개


풍산류씨는 풍산현(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의 토성으로 고려 후기에 성장한 전형적인 재지사족이다. 시조인 류절(柳節)로부터 류돈승(柳敦升), 류정장(柳挺莊) 3대에 걸쳐 호장을 역임하였다. 4세인 류백(柳伯)이 은사급제함으로써 토대를 마련하였고, 5세인 류난옥(柳蘭玉)이 창평현령을 역임함으로써 그 토대를 다졌다. 뒤를 이어 6세 류보(柳葆), 7세 류종혜(柳從惠)가 잇달아 실직을 역임함으로써 사족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특히 류종혜 때부터 풍산 읍내에서 하회로 옮겨와 정착함으로써 하회는 풍산류씨 가문의 세거지가 되었다. 풍산에 살던 류종혜가 서쪽으로 10여 리를 옮겨 하회로 들어오려 할 때 입향이 쉽지 않았던 것에는 두 가지 전설이 전해진다. 하나는 류종혜의 조부인 류난옥이 먼저 하회에 입향하고자 했으나 적선을 한 뒤라야 들어갈 수 있다는 계시에 따라 류종혜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음덕을 쌓았다는 전설이고, 또 다른 하나는 류종혜가 3년 동안 만인에게 적선을 하고 나서야 입향할 수 있었다는 전설이다.

하회로 옮겨온 풍산류씨는 사회·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여 일족의 세력은 확대되었고 가세는 더욱 부유해졌다. 류종혜의 아들 류홍(柳洪)은 진사 김관(金琯)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김관은 강호(江湖) 김숙자(金叔滋)의 부친이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조부이다. 그러므로 류홍은 김숙자와 처남 매부 간이고 김종직에게는 고모부가 된다. 류홍의 아들 류소(柳沼) 권옹(權雍)의 사위가 되었는데, 권옹은 이조정랑 배소(裵素)의 사위이며 평창군사를 지낸 관료였다. 류소의 아들 류자온(柳子溫)은 사간 안팽명(安彭年)에게 글을 배우고 사마시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 그의 장인은 청백리로 유명한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으로 연산군 때 대사간을 지내다가 낙향하여 안동 풍산에 은거한 명사이다. 류자온의 아들 류공작(柳公綽)은 간성군수를 지냈으며 연안이씨(延安李氏) 이형례(李亨禮)의 사위였다. 이형례는 대제학을 지낸 오봉(五峯) 이호민(李好閔)의 조부이다. 이와 같이 류종혜로부터 류공작에 이르기까지 하회 류씨들은 조선 전기 영남 지역이라는 제한된 시공간에서 가능한 최정상급 혼맥을 형성하였다. 그러한 혼맥이 결국 류씨 가문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고, 16세기에 입암(立巖) 류중영(柳仲郢, 1515~1573), 겸암(謙庵) 류운룡(柳雲龍, 1539~1601)·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 부자를 출현시킴으로써 영남을 대표하는 명문가로 발돋움하였다.

참고문헌
  • 김형수, 『풍산류씨 충효당』, 한국국학진흥원, 2009.
  • 김호종, 『서애 유성룡의 생각과 삶』, 한국국학진흥원, 2006.
  • 『편액』, 한국국학진흥원, 2013.
  • 이세동, 『충효당 높은 마루, 안동 서애 류성룡 종가』,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1.